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U1OCt/btrNhhaqwGN/59SbVsjkRRtZPImQ03UOY1/img.png)
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.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.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,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. programmers.co.kr def solution(num): if num % 2 == 0: return 'Even' else: return 'Odd' *key point: 조건문을 이용하면 쉽게 풀이 가능하다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jnepL/btrNlam1jod/dP4i0vRsfOUx5QyaVcfrIK/img.png)
11650번: 좌표 정렬하기 첫째 줄에 점의 개수 N (1 ≤ N ≤ 100,000)이 주어진다.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i번점의 위치 xi와 yi가 주어진다. (-100,000 ≤ xi, yi ≤ 100,000) 좌표는 항상 정수이고, 위치가 같은 두 점은 없다. www.acmicpc.net N = int(input()) dot_list = [] for i in range(N): x, y = map(int, input().split()) dot_list.append([x, y]) dot_list.sort() for dot in dot_list: print(dot[0], dot[1]) *key point: 2차원 리스트를 활용하여 입력값을 저장한 뒤, sort 함수를 이용하면 주어진 조건에 맞는 정렬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sdzjA/btrNb8YdBzM/KbHyQaZrBY5cjtCqJbLQKk/img.png)
1427번: 소트인사이드 첫째 줄에 정렬하려고 하는 수 N이 주어진다. N은 1,000,000,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. www.acmicpc.net N = int(input()) M = sorted(list(map(int, str(N))), reverse = True) for num in M: print(num, end ='') *key point: 입력받은 수의 각 자리를 요소로 가지는 리스트를 만들어 오름차순 정렬해준다. 이후 반복문을 통해 수를 순서대로 출력한다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xPSw4/btrNcY1B12m/Av8VVrWQNKgAQIm8Z9kNY0/img.png)
2108번: 통계학 첫째 줄에 수의 개수 N(1 ≤ N ≤ 500,000)이 주어진다. 단, N은 홀수이다. 그 다음 N개의 줄에는 정수들이 주어진다. 입력되는 정수의 절댓값은 4,000을 넘지 않는다. www.acmicpc.net import sys N = int(sys.stdin.readline()) num = [] count = [0] * 8001 for i in range(N): n = int(sys.stdin.readline()) num.append(n) count[n+4000] += 1 print(round(sum(num)/N)) print(sorted(num)[N//2]) mode = list(filter(lambda x: count[x] == max(count), range(len(coun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KQMrl/btrNdr3rHFi/MNfjh7mM07rViFgySDjcKk/img.png)
25305번: 커트라인 시험 응시자들 가운데 1등은 100점, 2등은 98점, 3등은 93점이다. 2등까지 상을 받으므로 커트라인은 98점이다. www.acmicpc.net N, k = map(int, input().split()) x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print(sorted(x)[-k]) *key point: sorted 함수는 오름차순으로 정렬하기 때문에, 정렬된 리스트를 뒤에서 부터 세어주어야한다.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고 싶다면 sorted 함수의 reverse 옵션을 사용할 수 있다. sorted(x, reverse=True)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WP79V/btrM8JyeOX4/yERe9pvmTRY6jjRXYiEwH1/img.png)
10989번: 수 정렬하기 3 첫째 줄에 수의 개수 N(1 ≤ N ≤ 10,000,000)이 주어진다.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수가 주어진다. 이 수는 10,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. www.acmicpc.net import sys N = int(sys.stdin.readline()) num_list = [0] * 10001 for i in range(N): num = int(sys.stdin.readline()) num_list[num] += 1 for i in range(10001): if num_list[i] != 0: for j in range(num_list[i]): print(i) *key point: 2750, 2751번 문제와 유사하나 다루는 수의 범위가 다르기 때문에 같은 방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g1Z9Q/btrNbXh9tnG/ZSQBHBBbtMZOIEQXRq4Xt0/img.png)
2751번: 수 정렬하기 2 첫째 줄에 수의 개수 N(1 ≤ N ≤ 1,000,000)이 주어진다.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수가 주어진다. 이 수는 절댓값이 1,000,00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. 수는 중복되지 않는다. www.acmicpc.net import sys N = int(input()) num = [] for _ in range(N): num.append(int(sys.stdin.readline())) num2 = sorted(num) for i in num2: print(i) *key point: 2750번 문제와 동일하나 입력 값 N의 범위가 크기 때문에, sys 모듈을 이용하여 시간 초과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c6rGx/btrMYTsBuNY/g1tAB7Hz7BqRxB53G1iyeK/img.png)
2750번: 수 정렬하기 첫째 줄에 수의 개수 N(1 ≤ N ≤ 1,000)이 주어진다.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수 주어진다. 이 수는 절댓값이 1,00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. 수는 중복되지 않는다. www.acmicpc.net N = int(input()) num = [] for i in range(N): num.append(int(input())) num2 = sorted(num) for i in range(len(num)): print(num2[i]) *key point: 파이썬의 내장 함수인 sorted()를 이용하여 정렬할 수 있다. 이후 반복문을 이용하여 리스트의 요소를 순서대로 출력한다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xRWya/btrMUTAx4Uo/i5k0Fzo1agsKvTarK8OKtK/img.png)
11653번: 소인수분해 첫째 줄에 정수 N (1 ≤ N ≤ 10,000,000)이 주어진다. www.acmicpc.net N = int(input()) if N == 1: print('') for i in range(2, N+1): if N % i == 0: while N % i == 0: print(i) N = N / i *key point: 소인수분해의 경우 2부터 불가능할 때까지 반복해서 나누어준 뒤 나누는 수를 1씩 증가시켜 반복하면 하면 배수의 경우가 자연스럽게 사라지므로 쉽게 수행된다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t5khO/btrMYUyhhzW/QV2jNTKABRKLX1FkzSaBb0/img.png)
2581번: 소수 M이상 N이하의 자연수 중 소수인 것을 모두 찾아 첫째 줄에 그 합을, 둘째 줄에 그 중 최솟값을 출력한다. 단, M이상 N이하의 자연수 중 소수가 없을 경우는 첫째 줄에 -1을 출력한다. www.acmicpc.net prime_num = [2] for i in range(3, 10000): for j in range(2, int(i**0.5)+1): if i % j == 0: break else: prime_num.append(i) M = int(input()) N = int(input()) num_list = [] for i in range(M, N+1): if i in prime_num: num_list.append(i) if len(num_list) == 0: print(-1) 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17103
- 24060
- Wil
- Programmers
- 코육대
- Python
- 항해+
- 25192
- 벡준
- 2738
- 10807
- 2587
- SQL
- til
- 백준
- 13241
- 1269
- 25501
- 24723
- 2903
- 26069
- MySQL
- 13909
- 항해 플러스
- 20920
- 24313
- 5597
- programmer
- 2053
- 4134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